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데이터베이스
- API
- 백준
- database
- Java
- ES
- 개발
- 프레임워크
- 코딩
- 코딩테스트
- 그리디알고리즘
- 알고리즘
- 개발자
- 자바
- 애자일프로그래밍
- 스프링
- 엘라스틱서치
- framework
- 클린코드
- JPA
- 애자일기법
- mongoDB
- 코드
- spring boot
- cleancode
- Elasticsearch
- 그리디
- 읽기쉬운코드
- Spring
- Baekjoon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성능 (1)
튼튼발자 개발 성장기🏋️
N+1 문제
JPA에서의 N+1 문제는 주로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할 때 발생하는 성능 문제로, 데이터베이스 쿼리가 예상보다 많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. 이 문제는 즉시 로딩(Eager Loading)이나 지연 로딩(Lazy Loading) 설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. N+1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페치 조인(Fetch Join), @BatchSize, @Fetch(FetchMode.SUBSELECT)와 같은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.1. N+1 문제와 즉시 로딩즉시 로딩은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할 때 기본적으로 즉시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한다. 하지만 잘못된 설정이나 비효율적인 쿼리로 인해 N+1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엔티티가 아래와 같을 때, 특정 author를 조회한다고 가정해볼 때 books..
API/JPA
2024. 9. 14. 12:41